•개발인원 : 2인
•개발기간 : 2018.08.27 - 2018 12.19
•개발도구 : 우분투 C언어(gcc컴파일러)
사용라이브러리: Achro-5250 보드와 PC와의 툴체인으로 cross compile 환경 구축
Memory mapping 방식의 주소값 접근방식으로 각 모듈들에 명령을 내리는 부분이다.
라즈베리파이나, 아두이노를 사용하지 않아서 더 불편하긴 했지만, 임베디드 시스템의 특성상 컴파일같은 PC에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은 다 PC에 두고 할 수 있는 cross compile환경에 대한 경험과, 리눅스 운영체제의 코어단에서 커널을 설치하고, 하드웨어 제어도 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많은 공부를 할 수 있었다.
사실 코딩은 별로 안걸렸지만, 컴파일 환경을 구축하기위해 TFTP 설치, NFS 설정, minicom 설치같은 교차개발 환경을 구축하는데 거의 모든시간을 사용하였다.
'대학 > 3학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멀티미디어프로그래밍 팀프로젝트 (0) | 2020.05.09 |
---|---|
소프트웨어공학 팀프로젝트 (0) | 2020.05.09 |
컴퓨터 네트워크 팀프로젝트(패킷분석) (0) | 2020.05.08 |
컴퓨터 그래픽스 팀프로젝트(OpenGL) (0) | 2020.05.08 |
컴퓨터 그래픽스 과제(OpenGL) (0) | 2020.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