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03
크래프톤?
블루홀에서 이름을 변경하였다. game union인 만큼 많은 자회사가 연결되어 있다.
임재연 - 크래프톤 피플유닛
게임은 20개가 출시되면 하나가 성공할까말까한 확률을 가지고있다. 게임 하나가 실패하면 회사가 위태로워지는 곳도 있지만 크래프톤은 그래도 조금 버틸 수 있을만한 자본력을 가지고있다.
크래프톤의 게임 제작과정
제작 리더쉽(pd, td...) 를 주축으로 구성된 팀이 게임을 제작한다.
게임을 출시하기까지 2~3번의 마일스톤이 진행되는데(게임 제작의 확인)
이 마일스톤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간섭도 있지 않다.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 - 목표한 일자까지 필요한 기능을 잘 구현했는가.
홍석근 - 게임개발 PD
게임은 다른산업과 크게 다르지 않다. 게임업계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창의성도 다른산업에도 필요한 부분이다.
게임이라는 분야는 다양한 사람들이 모였기때문에 기본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이 힘들다.
좋은 프로그래머란, 첫번째로 좋은 작업자. 두번째로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한 사람, 세번째로 좋은 선배라고 생각한다.
정승혜 - 게임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
목표부서의 주 사용언어가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자신이 게임개발에 임하는 자세에 대해서 고려해보아야 한다.
기초전산학은 기본으로 하고, 자료구조, 알고리즘, 컴퓨터구조의 지식도 중요하다.
논리적사고와 게임에 대한 열정.
자신이 한 결과물보다는, 그것을 하면서 얻은것과 성장한것을 더 알고싶어한다.
Vulkan(그래픽관련) 에 대해 살펴보자.
양진수 - HR unit
자기소개서를 읽는분이 누구인지, 왜쓰는지를 알 필요가 있다. 내가 일 할 팀의 리더가 읽는 자신의 첫번째 회사문서이다.
포트폴리오는 간단하고 명료하게 작성, 맨 앞 반페이지나, 한페이지로 자신이 표트폴리오로 이야기할것을 미리 노출시킬것.
회사직무에 대한 이해(회사 안에도 많은 부서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현직과 개인게임제작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성장한 경험 위주로 작성.
좋은 회사복지와, 근무환경, 독특한 기업문화가 돋보이는 회사였다. 많은 자회사들이 뭉쳐진 union의 형태, 직원간의 세미나, 동아리가 활발한 형태, 즐거워보였다.(사무공간은 조용했다.)
p.s. 내가 창업한 회사나, 내가 속해있는 자회사가 크래프톤union에 속해있다면 얼마나 안정감을 느낄 수 있을까.
좋은 취지의 회사컨셉이 보였고, 열심히 생존해온 치열함이 보였다.
'Spex'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유튜브 창업특강 후기. 한국산업기술대 (0) | 2019.09.04 |
---|---|
NAVER DEVELOPER OPEN CLASS 2019 후기 (0) | 2019.09.04 |
인디게임위크엔드3회 참가후기 (0) | 2019.08.14 |